네이버부동산에 매물을 등록하는 방법이 중개인만 가능한 줄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공인중개사가 아니고 개인이지만 비용 없이 2건까지 무료로 올릴 수도 있답니다
실제로 저는 이런식으로 해서 전세나 월세를 계약도 하고 그러기도 했는데요 중개사가 올린 거랑 똑같이 올라가기 때문에 좋으며 특히 월세 같은 경우에는 수수료 없이 계약하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아서 좋아하더라고요
요즘에는 이외에도 개인이 등록해서 직거래를 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요즘은 당근을 참 많이 이용하시는데 여기를 통해서도 계약을 많이 하는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다방이란 사이트를 통해서도 올릴 수가 있습니다
또 다른 곳은 직방(호갱노노) 인데요 여기는 개인간 직거래는 되지 않고 사이트에 신청을 하면서 중개사를 선택하면 거기서 연락이 와서 중개가 진행이 됩니다
개인이 매물을 올릴 수 있는 방법
- 당근 부동산
- 다방
- 직방(호갱노노)
-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 사이트(어플)
위의 방식처럼 요즘은 개인도 노출을 시켜서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오늘은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 사이트나 어플을 이용해서 올리기 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네이버부동산 매물등록방법
위의 사진을 보면 '직거래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 제공'이라고 나오는데요 중개사가 신청한 물건이나 별다른 특이사항은 없어 보여서 연락을 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제가 중개하는 사람인지 알고 있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이 사이트나 혹은 어플에서 전세나 월세 혹은 매매까지도 올리기 하게 되면 카페와 이 사이트는 물론이고 네이버에서도 볼 수가 있는데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는 곳이라서 효과가 좋은 편이라서 알아두면 두고두고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그럼 이제 어떻게 하면 여기에 올릴 수 있는지 소개해 드릴게요
피터팬 사이트에 방내 놓기
먼저 pc에서 사이트에 접속을 해서 사이트에 들어가거나 혹은 모바일에 어플을 설치를 해서 시작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일단 로그인을 한 다음에 오른쪽에 있는 방내 놓기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정보를 넣을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임대할 방의 정보를 하나하나 입력해 주면 되는데요 임대인이나 또는 세입자도 할 수가 있으니 선택을 해주면 되고요 주소 및 거래금액은 얼마인지 방은 몇 개인지 방향은 남향인지 복도식인지 계단식인지, 옵션은 뭐가 있는지 등을 빠짐없이 입력해 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입력하라고 하면서 다시 앞페이지로 넘어가서 해주어야 해요 마지막으로 방 사진과 상세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비용은 무료지만 결재도 해야 해요
피터팬은 2건까지는 수수료가 없기는 하지만 그 이상 올리거나 추천으로 하려면 유료로도 이용이 가능해요
특히 검증을 모바일로 하면 수수료가 0원이고 전화나 다른 방식으로 하면 9900원을 결재해야 하는데 대부분 모바일로 하는 편이지요
검증을 한다는 것은 입력이 다 완료하고 '광고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네이버에서 검증을 한다고 문자가 오는데요 이렇게 문자를 받아서 '내가 신청한 게 맞습니다'하고 클릭하게 되면 수수료가 없고 전화가 와서 '내놓은 것이 맞나요?'하고 물어보면 유료라는 말입니다
이렇게 하면 작업이 끝나고 카페나 사이트에는 바로 등록이 되어서 확인이 가능하며 문자를 받고 나서 1~2시간 후에는 검색을 해보면 올려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네이버부동산 방법 및 비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지방이나 혹은 수도권이어도 금액이 적은 매물 같은 경우에는 중개인 잘 올려주지도 않는 경우도 많은데 개인도 비용없이 무료로 가능해서 유용하게 이용을 할수가 있습니다
금액이 작은 전세 혹은 월세의 경우에는 연락도 많이 오고 실제로 계약까지 가는 경우도 많기는 한데 금액이 크거나 혹은 매매 같은 경우에는 조금은 불안함이 있는지 보시기는 많이 하는데 계약까지는 잘 가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저는 마땅한 공인중개사 찾기가 힘들 경우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올려놓으면 공인중개사 분이 연락을 주셔서 계약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중개사 분의 연락을 기다리는 일종의 광고 목적으로 올려놓는 편입니다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건물 등기부등본 인터넷 열람 및 등기사항전부증명서 발급방법 (0) | 2025.03.25 |
---|---|
부동산 매도용 인감증명서 발급 준비물, 인터넷도 가능할까? (0) | 2025.03.17 |
국세 완납증명서 지방세 납세증명원 인터넷 발급 방법(정부24) (2) | 2024.09.11 |
재건축 아파트 매매시 2종 3종 일반주거지역의 차이와 확인하는 방법 (2) | 2024.08.31 |
지역별 인구수가 많다고 투자하기가 좋을까? (1) | 2024.08.28 |